1. 단백질 그리고 지방에 대한 편견들
단백질은 그러니까 고기들은 옛날 사람들, 한국사람은 밥심, 피를 탁하게 한다. 라는 식으로 말하면서,
채식을 권장하고, 반대하는 사람들은 포화지방이 많이 들어 있어서 건강이 굉장히 안좋다.. 라고 말을 하지.
물론 포화지방이 나쁘지 않다는 이야기가 아니야.
더욱이. 음식으로 지방을 섭취한다고 해서 니 몸에 지방이 더 많이 늘어나는게 아냐.
오히려 지방을 빼려면 지방을 섭취해줘야한다. 왜!? 그 이유는 아래에 설명하겠다.
2 지방과 단백질은 우리의 몸을 만든다.
다이어트를 하면 피부가 더러워지고 머리가 빠지고, 심지어는 흰머리가 난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고,
흔히들 피곤하고 온몸에 힘이 없다고 말하지.
그건 왜일까? 지방과 단백질을 제대로 섭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야.
단백질은 수분 다음으로 우리 몸에 많은 성분인데, 근육, 피부, 머리털, 손톱 전부 다 절반 이상이 단백질로 이루어져있어.
심지어 면역 시스템도 단백질로 구성돼 있어. 그래서 잘못된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감기에 잘 걸려.
3. 단백질이 구성되는 원리?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어. 생명 유지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필수 아미노산이라고 하는데,
9개는 인체에서 공급이 가능한데, 나머지 11개는 인체에서 합성이 불가능해. 그래서 반드시 고기를 먹거나, 보충제를 먹거나 해서 보충을 해줘야해.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매번 적정한양의 단백질을 섭취해줘야해.
적정한양의 단백질은 개개인마다 똑같을까? 근돼든, 멸치든, 일반인이든, 여자든? 다르지. 몸 크기가 다른데 어찌 같겠어.
그 값을 구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4~5편쯤에 소개하겠다.
4. 그렇다면 단백질만 먹고 다이어트 하면 안되냐?
일단 탄수화물물이 왜 필요한지는 탄수화물편을 참조하고.
왜 황제 다이어트가 단기적으로는 성공하는지를 알려주겠어.
일단 24시간동안 저탄수화물 식단을 먹으면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모두 사용해서 '키톤증'이라는 대사 이상상태를 만들어버려.
이렇게 되면, 체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써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긴 해.
근데, 장기적(3일 이상)으로 보면 혈중에 아미노산이 증가해.
아미노산이 증가하면 뇌에서는 동시에 인슐린을 과다분비 시켜버리거든.
그렇게 되면 어떻게 될까?
필요 이상의 단백질은 전부 지방으로 전환시켜버려.
그리고 난 다음에, 일반식으로 돌아오면 어떻게 될까?
혈중 인슐린치가 증가하면서 단백질 먹어도 살로가고, 탄수화물 먹어도 살로가고.. 돼지화가 가속돼.
그게 "Yo-Yo"라는거야.
5. 지방을 섭취해야한다.
반드시 알아야할 사항은
(1) 음식에 지방 좀 들었다고 그것때문에 비만해지는게 아니다.
(2) 체지방을 줄이려면 반드시 지방을 섭취해야한다.
는 점이야.
왜냐? 체지방대사를 위해서는 지방이 필요해.
사람의 몸은 특이하게도, 잘 들어오지 않는 영양소는 몸에서 안쓰려고 하고,
적절하게 들어오는 영양소는 쓰려고 하는 성질이 있어.
지방이 몸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사람의 몸은 지방을 아예 쓰지 않으려고 하지.
인체 내에는 여러가지 지방질(기름) 이 존재하는데, 콜레스테롤은 그중의 하나야.
콜레스테롤이 왜 필요하냐면, 성호르몬이나 부신피질 호르몬 몇 비타민D, 담즙산등을 만드는 원료야.
그러니까 지방이 모든 대사를 관장하는 호르몬의 기본이 된다는 거지.
그래서 몸에 쌓이지 않는 적정량의 지방이 필요한거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위해서도 필요하지.
6. 그래서 어떤 지방을 섭취할까?
지방의 종류는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트랜스 지방이 있어.
그런데, 이 불포화지방에도 단일 불포화 지방산, 복합불포화지방산 등이 있는데
거기에 대해서 더 잘알고 싶으면
여기를 참조하고
혈행개선에 도움이 되는 지방산으로 우리는
오메가3, 아몬드, 생선등을 통해서 섭취할 수 있지.
생선은 단백질과 좋은 지방을 포함하는 아주 좋은 식품이야.
'영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추럴 체중표.png (0) | 2019.02.18 |
---|---|
단백질 보충제 분석.txt (0) | 2019.02.18 |
음식을 먹으면 호르몬이? (0) | 2019.02.17 |
올바른 단백질 섭취 방법은? (0) | 2019.02.17 |
탄수화물이 비만의 원인일까? (0) | 2019.02.17 |